해외상장 해외 ETF vs 국내상장 해외 ETF
일반 증권 계좌
5년투자 수익률 비교
그리고 절세혜택
일반계좌에서 투자 시 QQQ, VOO, SPY와 같이 해외상장 해외 ETF에 직접 투자하는 것이 유리할까? 아니면 TIGER/KODEX/SOL/PLUS 등 국내운용사의 ETF를 투자하는 것이 유리할까? 에 대해서 비교해보겠습니다.
해외 ETF 세금 비교
해외상장 해외 ETF | 국내상장 해외 ETF | |
대상 상품 (ex) | QQQ, VOO, SPY, SCHD | TIGER 나스닥100 KODEX S&P 500 SOL 미국배당 |
거래 가능 계좌 | 일반 주식거래 계좌 | 일반 계좌 절세 계좌(ISA, IRP, 연금저축 등) |
세금 | 매매차익 : 양도소득세 22% 분배금 : 배당소득세 15.4% |
매매차익 : 배당소득세 15.4% 분배금 : 배당소득세 15.4% |
비과세 조건 | 매매차익 비과세 적용 - 매년 250만원 한도 | 비과세 적용 없음. |
과세종류 | 분리과세 금융소득종합과세 적용 안됨 |
금융소득 종합과세 합산 과세 |
나스닥 100, S&P500 지수추종 ETF, SCHD 배당위주의 ETF 와 같이 해외에 상장된 ETF에 투자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해외 증권계좌에서 해외에 상장된 QQQ, VOO, SPY, SCHD ETF를 직접 투자하는 방법과, 그리고 국내시장에 상장된 ETF를 매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QQQ, VOO, SPY, SCHD 를 직접 투자하는 경우 해외시장에 투자하는 세금이 적용되며, 매매차익에 대해서는 양도소득세 22% 분배금(배당금)에 대해서는 배당소득세 15.4%가 적용됩니다. 또한 해외시장에 투자할 때는 매매차익에 대해 매년 250만원 한도의 비과세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즉, 매매차익 중 250만원 초과 금액에 대해서만 22% 양도소득세가 적용되므로 이 부분을 고려하여 절세전략을 세워볼 수 있습니다.
국내시장에도 QQQ, VOO, SPY, SCHD와 같은 성격으로 동일한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상장 ETF가 있는데, 운용사별로 TIGER/KODEX/SOL/PLUS 명칭과 더불어 ETF 명에 "나스닥100", "S&P500", "미국배당" 등의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상품이 그것입니다. 국내시장에 상장된 해외 ETF 투자시, 매매차익에 대해서는 배당소득세 15.4% 분배금(배당금)에 대해서도 배당소득세 15.4%가 적용됩니다. 매매차익에 대해서는 해외 직접투자보다 세율이 낮은 반면, 매매차익에 대한 비과세 한도는 없습니다.
해외상장 ETF 매매차익에 대해서는 양도소득세를, 국내상장 해외 ETF의 매매차익에 대해서는 배당소득세 15.4%를 부과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해외상장 해외 ETF 투자 시 세금 계산
[조건]
- 매년 1,200만원 투자 (월 100만원)
- 총 투자기간 5년
- 연 평균 수익률 8%
- 매년 250만원 비과세 적용
해외상장 ETF 5년투자 총 수익 및 수익률 계산
해외상장 해외 ETF |
1년차 | 2년차 | 3년차 | 4년차 | 5년차 |
누적 투자원금 | 12,000,000 | 24,000,000 | 36,000,000 | 48,000,000 | 60,000,000 |
연 평균 수익(8%)
|
960,000 | 1,920,000 | 2,880,000 | 3,840,000 | 4,800,000 |
비과세 적용 (0%)
매도후 재매수 |
960,000 | 1,920,000 | 2,500,000 | 2,500,000 | 2,500,000 |
과세대상 수익 | 0 | 0 | 380,000 | 1,340,000 | 2,300,000 |
총 수익 | 14,400,000 | ||||
과세대상 총 수익 | 4,020,000 | ||||
양도소득세(22%)
|
884,400 | ||||
세후 총 수익 | 13,515,600 | ||||
세후 수익률 | 0 |
※ 특이사항: 양도소득세 22% 적용으로, 금융소득 종합과세 합산대상 아님.
※ 분배금 재투자 조건 없이, 원금 수익률만 계산.
5년 투자 총 수익
해외에 상장된 해외 ETF에 5년간 투자했을 때 총 예상수익과 총 예상세금을 계산하면 위 표와 같습니다. 연 평균 수익 8%로 계산해보면 5년간 총 수익은 1,440만원이 발생합니다. 이를 5년동안 보유하고 5년뒤에 일괄로 매도한다면 양도소득세로 316만원의 세금을 납부해야 하지만, 해외상장 ETF의 경우 연 250만원의 수익에 대해서는 비과세한도가 적용되므로, 비과세 한도를 적용하여 절세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매년 250만원 비과세 적용
: 연말에 수익이 발생한 경우, 250만원까지 이익을 보고 매도를 진행하여 비과세 혜택을 받고, 다시 매수를 진행하여 투자금을 유지하는 방법.
5년 투자 후 총 세금
절세혜택을 최대로 적용받기 위해 매년 최대 250만원 수익까지 매도 & 재매수를 반복하는 조건으로 세금을 계산해보았습니다. 첫 해와 둘째 해에는 소득이 250만원을 초과하지 않으므로, 보유한 전체 ETF를 매도 및 재매수하여 모든 수익에 대해 세율 0%를 적용받습니다. 물론 이 때 재매수로 인해 평단가가 높아지므로 증권사를 통해 누적 수익률을 확인하기 어렵게 됩니다. 하지만 절세가 더욱 중요하므로, 매도&재매수를 매년 반복합니다. 연 8%수익률로 단순 계산했을 때 3년차부터 5년차까지는 수익이 250만원을 초과하는데, 수익이 250만원 이하로 발생할 수 있도록 매도 및 재매수를 반복합니다.
매도와 재매수를 반복하여 매년 비과세 혜택을 적용받아, 5년의 투자기간 동안 발생한 수익금 중 1,038만원의 수익에 대해 비과세 적용을 받았습니다. 이렇게 매년 매도&재매수 하는 방식을 통해 5년 후 일괄 매도 했다면 내야할 전체 세금 중 약 228만원 정도의 세금을 절세 할 수 있습니다.
5년 후 ETF를 모두 매도하면서 발생한 매매차익 1,440만원 중 과세대상 총 수익은 402만원으로, 익년도 5월에 ETF매매차익 중 402만원에 대해서만 양도소득세를 신고하면 됩니다. 이 때 402만원에 대해 양도소득세 22%가 적용되어 884,400원의 세금이 부과됩니다.
총수익 및 수익률
해외상장 ETF인 QQQ,VOO, SPY를 연 1,200만원 씩 5년간 매수하였고, 연평균 기대수익 8%를 적용했을 때 5년 투자 결과 세후 총 수익은 13,515,600원, 원금대비 투자수익률은 22.53%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매년 250만원의 비과세 혜택을 더해 연 평균 수익률 8%가 22.53%의 수익률로 증가되었습니다.
국내상장 해외 ETF 투자 시 세금 계산(일반계좌)
[조건]
- 매년 1,200만원 투자 (월 100만원)
- 총 투자기간 5년
- 연 평균 수익률 8%
- 비과세 조건이 없으므로, 중간정산 없이 5년 뒤 일괄 매도 후 세금 정산
국내상장 ETF 5년투자 총 수익 계산
국내상장 해외 ETF |
1년차 | 2년차 | 3년차 | 4년차 | 5년차 |
누적 투자금 | 12,000,000 | 24,000,000 | 36,000,000 | 48,000,000 | 60,000,000 |
연 평균 수익(8%)
|
960,000 | 1,920,000 | 2,880,000 | 3,840,000 | 4,800,000 |
과세대상 총 수익 | 14,400,000 | ||||
배당소득세 (15.4%)
|
2,217,600 | ||||
세후 총 수익 | 12,182,400 | ||||
세후 수익률 | 20.30% |
※ 특이사항: 매매차익에 대해 배당소득세 15.4% 부과됨. 금융소득 종합과세 합산대상임.
※ 분배금 재투자 없이, 투자원금 대상으로 계산.
※ 비과세 조건 없으므로, 5년 투자 후 만기 일시 ETF매도로 계산.
5년 투자 총 수익
국내 상장된 해외 ETF, 예를들어 TIGER 나스닥 100, SOL S&P500 등의 국내상장 ETF에 5년간 위 조건으로 투자했을 경우 수익은 위와 같습니다. 연평균 8%의 수익률을 가정하였을 때, 매년 1200만원의 추가 투자에 따라 5년 후 매매차익은 1,440원이 발생합니다.
5년 투자 후 총 세금
국내상장 해외 ETF의 경우 비과세 조건이 없으므로, 매년 ETF를 매도&재매수 할 필요는 없으며, 5년 투자 후 종료시점에 ETF를 일괄 매도하여 세금을 정산할 수 있습니다. 단 국내상장 해외 ETF 매매차익은 금융소득으로 간주되어, 금융소득 종합과세 계산 시 합산되므로, 이 점을 고려하여 필요 시 중간 정산이 필요한 경우도 있으니 꼭 금융소득 종합과세 부분을 검토 후 투자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5년 후 일괄매도를 통해 세금을 정산한다면, 배당소득세 15.4%가 적용되어 총 세금 221만원이 부과됩니다. 이에 따라 세후 총 수익은 1,218만원이 됩니다.
총 수익 및 수익률
국내상장 해외 ETF를 일반 계좌에서 투자 시, 투자원금 6,000만원에 대해 5년 후 세후 수익(매매차익)은 1,218만원이며, 세후 수익률은 20.30%가 됩니다. 동일기간 동일금액을 해외시장에 투자하였을 때보다 수익률이 2.23% 더 낮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외주식 계좌 vs 국내주식 계좌 성과비교 (5년투자)
결과 | 해외상장 해외 ETF |
국내상장 해외 ETF |
차익 |
투자상품(ex) | QQQ, VOO, SPY | TIGER 나스닥 TIGER S&P |
|
투자원금 | 60,000,000 | 60,000,000 | |
5년간 총수익 | 14,400,000 | 14,400,000 | |
세금 종류 | 비과세 연 250만원 양도소득세 22% |
배당소득세 15.4% | |
납부세액 | 884,400 | 2,217,600 | -1,333,200 |
세후수익 | 13,515,600 | 12,182,400 | 1,333,200 |
원금대비 수익률 |
22.53% | 20.30% | 2.22% |
특이사항 | 금융소득 종합과세 비대상 |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 |
나스닥 100,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 상품에 연 1,200만원 (월 100만원) 씩 5년간 적립식 투자를 한 조건으로 세후 수익률을 계산하면 위와 같습니다. 단순 계산으로는 해외시장에서 직접 투자한 경우 세후수익 1,351만원 수익률 22.53%를, 국내시장에서 국내 ETF로 투자한 경우 세후 수익 1,218만원 수익률 20.30%로 총 수익금 130만원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개인 투자 전략에 따라, 투자 자본에 따라, 투자 기간에 따라 수익률과 세후 수익금은 달라질 수 있고, 본인의 투자 포트폴리오에 따라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여부가 중요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투자 전 모든 사항을 고려하여 위와같이 계산을 한 뒤 투자할 필요가 있습니다.
총 결론
QQQ, VOO, SPY와 같은 해외 증시 지수를 추종하는 ETF 상품에 장기투자 하는 경우, 국내시장에서 투자하는 방법과 해외시장에서 투자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투자 자본금, 투자 기간에 따라 양도소득세 22% 및 연 비과세 250만원 혜택을 받고 금융소득 종합과세와 분리하여 과세 적용 받는 방법이 유리할 수도 있고, 비과세 조건이 없더라도 배당소득세 15.4% 혜택을 받고 금융소득 종합과세와 합산되어 과세 적용을 받는 방법이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월 100만원씩 연 1,200만원을 5년간 투자하는 위 조건으로 보았을때는 해외상장된 해외 ETF를 투자하는 것이 유리한 결론에 이릅니다.
해외상장 해외 ETF
- 연 250만원 비과세 효과 승!!
이 결론은, 특정 수익률 특정 투자 기간에 대해 단순 계산으로 세금을 산출한 결과에 따른 결론이며, 계산 시 ETF 운용 보수 및 분배금 재투자 등의 조건을 고려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투자 시기별, 투자 금액별 성과 및 수익률은 위 수치와 다를 수 있으므로, 개인 투자 전 본인에게 맞는 예상 수익 및 예상 세금을 직접 계산한 후 투자방식을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 본 글은 투자 권유 글이 아니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