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주 증권주 주가상승 원인, 코스피 3100 달성 (feat. 신한지주, KB금융, 하나금융, 우리금융)
이란-이스라엘 중동 위기가 해소국면에 접어들면서 코스피가 장중 3,100을 돌파하였습니다. 이와 동시에 상법 개정과 밸류업 효과가 기대되는 금융주/증권주 역시 급등하는 장세를 보였는데 주가 상승 원인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1. 원화강세 & 외국인 투자자금 유입
원화 강세로 외국인 투자자금이 유입되며 금융주를 적극 매수하고 있습니다. KB금융의 외국인 지분률은 78.20%, 신한지주는 59.02%, 하나금융지주는 67.80%, 우리금융지주는 46.83%까지 상승했습니다.
2. 실적 개선 기대감
4대 금융지주의 2025년 당기순이익은 17조 6,497억원으로 전년대비 6.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의 금리인하에 따라 예금금리는 낮아지는 추세이고, 부동산 가격 안정화를 위해 대출규제가 반영되며 대출금리는 높아지며 금융주의 수익 개선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성장률이 낮아지고 경제가 어려워지며 대출수요가 늘어 대출이자 수익 증가로 실적 개선이 될 가능성이 있고, 낮은 예금금리로 인해 투자자금이 배당투자처인 금융주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3. 자사주 소각, 주주환원 정책 강화
금융지주사는 자사주를 매입하여 소각하고, 배당을 확대하는 등 주주환원률을 높이고 있습니다. KB금융은 2025년 총주주환원률 50%를 초과할 것으로 기대되고, 신한지주 하나금융 우리금융 역시 2025년 주주환원률이 40%를 초과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4. 상법개정 정책 기대감
새 정부의 금융정책 중 상법개정 정책과 밸류업 정책에 대한 기대감 역시 상승요인 중 하나입니다. 배당소득세 분리과세, 자사주 소각 의무화 등을 정부 안건으로 검토 중인데, 검토 결과에 따라 한국증시는 물론 배당성향이 강한 금융주의 투자 가치가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가 있습니다.
2025년 상법개정안 주요내용 정리 (feat. 코스피 3000을 넘어 5000까지)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의 쟁점상법개정그리고 코스피 5,000 달성 코스피 5,000 달성의 시작점이 될 2025년 상법개정안의 주요 쟁점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의 필요성이 과거
leapover.tistory.com
금융주 투자 시 주의해야 할 사항
상법개정과 밸류업 정책의 수혜, 원달러 강세, 실적개선 기대감, 유동성 확대 등 금융주 상승을 기대하는 소재가 많지만, 금융주 투자시에는 앞으로 금리 인하기가 예정되어 있음을 고려하여 신중한 결정이 필요합니다. 금리 인하는 구조적으로 은행의 핵심 수익원인 "순 이자 마진"을 훼손하여 수익성을 악화시키며 주가 하락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는 부동산 대출 규제로 인해 예대금리차를 유지할 수 있는 상황이지만, 앞으로 기준금리 인하가 지속되면 대출금리도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이고 금융권의 이자이익 감소가 본격화 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지금은 원달러 강세 및 정부 정책 기대로 외국인 투자자금 유입이 순항중인데, 환율 이슈 또는 전쟁 이슈 등으로 외국인 수급이 둔화될 경우 다시 박스권으로 회귀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중장기 및 단기 투자 전략
투자기간 | 의견 |
단기투자 (1~3개월) | 상법개정 및 밸류업 수혜 기대, 단기 실적 기대, 외국인 및 기관 수급 원활함에 따라 단기적으로 상승세가 유지될 것으로 기대되고, 단기적으론 차익 실현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중기투자 (6개월~1년) | 금리인하가 본격 진행되면 2026년도부터는 수익성 둔화가 우려되며, 이에 따른 주가 하락 가능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2024년 초와 비슷한 패턴이 진행될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합니다. |
장기투자 (1년 이상) | 현재 검토중인 상법개정 및 밸류업, 주주가치 제고 등의 기업적 정책의 결정 추이에 따라 상승도 하락도 가능한 상황입니다.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주주가치 제고 및 비이자수익 다변화 전략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겠습니다. |
KB금융과 신한지주를 비롯한 금융주는 현재 정책 프리미엄 + 배당 프리미엄이 붙은 리레이팅 시기로, 금리 인하가 본격 예정되어 있는 현재로서는 단기적인 투자가치가 증가한 것이지 장기적으로 재평가 되고 있음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할 수 있으므로 중장기 투자 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합니다.
* 본 글은 투자권유 및 종목추천을 위한 글이 아니며, 투자에 대한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